그림 그리기 지난 주말에 집에서 쉬고 있는데 아리가 그림을 그려 달라고 해서 그림을 그렸다. 내가 좋아하는 동물들을 그렸다. sketched by SpaceNut. colored by Ari. 내가 그린 스케치에 아리가 색깔을 입혀줬다. 훨씬 더 예뻐진 것 같다. 참고로 땅 속 깊이 있는 골뱅이는 암모나이트 화석이고 그 옆의 이상하게 생긴 것은 삼엽충 화석이다. 그림을 그리고 색연필로 색칠을 해본 것이 정말 오랜만이었는데 생각보다 재밌었다. 종.종. 그려야지~ 2013. 5. 21. Pentax SMC D FA 100mm F2.8 MACRO WR (물백마) 영입! Pentax SMC D FA 100mm F2.8 MACRO WR... 인물용 망원렌즈가 필요해서 알아보다가 결국 물백마를 영입했다. DA50-135 F2.8 FA77 F1.8 FA135 F2.8 F135 F2.8 DFA100 F2.8 DFA100 F2.8 WR 위의 렌즈들이 후보였는데, 크기, 무게, 화각, 방진방적, 색수차, 매크로 등을 고려해서 결국 물백마로 선택하였다. 1차 구매자분께서 영입하신지 일주일도 안된 렌즈라서 상태는 최고였고, 가격은 정가보다 많이 저렴하게 구매하였다. 100mm 매크로 렌즈라서 렌즈 크기가 좀 클 줄 알았는데, 막상 받고보니 정말 작았다.리밋 렌즈가 아닌데도, 크기와 디자인 모두 리밋 시리즈에 어울렸다. DA35리밋이 주욱~ 늘어나면 이렇게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2013. 4. 3. 유효조리개 구경과 심도비교 Pentax K-5 + DA* 16-50 F2.8 카메라와 피사체의 위치를 고정한 후 찍은 사진. 왼쪽은 초점거리 25mm, F4로 찍었고, 오른쪽은 50mm, F8 로 찍었다. 25mm 로 찍은 사진은 더 넓은 화각을 가지기에 1/2 크기로 크롭하였고,50mm 로 찍은 사진은 1/2로 축소하여 픽셀수를 같게 만들었다. 보이는 바와 같이 두 사진의 심도는 거의 같다.화각의 변화로 인한 오차를 제외하면 사실상 같다. 이는 초점거리 25mm, 조리개 F4의 유효조리개 구경과 초점거리 50mm, 조리개 F8의 유효조리개 구경이 같기 때문이다. 25 / 4 = 50 / 8 = 6.25 어떤 렌즈를 사용하든지 간에 유효조리개 구경이 같으면 동일한 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심도는 같다.50mm F1.4 렌.. 2013. 3. 14. CoreAVC Video Decoder 세팅하기 요즘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동영상 코덱은 H264/AVC 이다.고화질의 영상을 높은 압축률로 압축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영상들이 이 코덱으로 제작되고 있다. H264/AVC 코덱으로 제작된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H264/AVC 디코더가 필요하다.디코더의 성능에 따라서 고화질의 영상을 끊김없이 재생할 수 있는지 없는지가 결정된다.물론 디코더의 성능이 부족해도 요즘 나오는 최신의 CPU는 웬만해서는 자기 힘으로 재생시켜 버린다.하지만 CPU에 무리가 가며, 멀티태스킹 능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최신 CPU로도 재생하지 못하는 동영상도 있다.따라서 동영상 플레이어에 기본 탑재된 H264/AVC 디코더가 아닌, 고성능의 디코더를 따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외부 디코더로는C.. 2013. 2. 11. 팟플레이어에서 TP 파일(MPEG2) 재생하기 (DXVA 이용) 내가 집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는 사용한 지 5년이 넘은 노트북이다.CPU는 Core2Duo T7500 (2.4GHz).듀얼코어의 초창기 모델이라서 최신 I5 계열의 쿼드코어에 비교하면 너무도 떨어지는 성능이다.하지만 웹서핑, 동영상 감상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큰 문제 없이 사용 중이다. 다만, 고화질의 동영상 재생에서는 문제가 발생한다.동영상 재생은 코덱으로 압축된 영상을 디코딩하여 화면에 보여주는 작업인데,여기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CPU와 코덱이다. 동영상 파일이 어떤 코덱으로 압축되었고, 어떤 코덱으로 디코딩하는가?디코딩을 수행하는 CPU의 성능은 어떠한가? 이것이 중요하다.그런데 CPU 성능은 컴퓨터를 구매할 때 결정된다.따라서 고화질의 동영상 재생이 불가능할 경우 내가 발악할 수 있는 건 .. 2013. 2. 11. 관악산의 눈 며칠째 눈이 내린다.작년에도 그랬고, 재작년에도 그랬듯이, 올해에도 관악산은 눈으로 덮인다.관악산에 위치한 서울대학교.눈이 오면 큰일이다.관악산의 북사면에 위치하였기에, 평지는 없고 비탈길만 가득하기에, 눈이 오면 별다른 방도가 없다. 걷. 는. 다. 우리 연구실은 학교 내에서도 가장 높은 곳에, 그리고 가장 정문에서 먼 곳에 위치한다.고도가 꽤 높기 때문에 맑은 날이면 서울 전경이 눈 앞에 펼쳐져 연구할 맛이 난다.정문에서 멀다고 했지만, 사실 그렇게 멀지는 않다.연구실에서 녹두에 위치한 자취방까지 종종 걸어가곤 하는데, 정문까지 30분, 집까지는 40분이면 간다.물론 이는 내리막길이라서 그런 것이고, 반대로 집에서 연구실까지 오려면 1시간은 족히 걸린다. 눈이 오면 더 길어진다.어제도 오후께부터 눈발.. 2013. 2. 6.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