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assic shell(Classic start menu)의 시작 메뉴에서 검색 시 PC 설정이 안나오는 문제 해결하기 윈도우 10에서 가장 불편한 것이 시작 메뉴이다. 윈도우 7 시작 메뉴와는 완전히 다른 모습인데, 아무리 써도 적응이 되지 않는다. 이전의 UI에 익숙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냥 윈도우 10의 UI는 불편한 UI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들을 위해 Classic shell이라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http://www.classicshell.net/ Classic Shell - Start menu and other Windows enhancements Dec 3rd, 2017 - Classic Shell is no longer actively developed After 8 years I have decided to stop developing Classic Shell. The source co.. 2021. 3. 9.
2020. 12. 20. 목성-토성 대근접 목성-토성 대근접 촬영 일시 : 2020. 12. 20. 17:50~18:20 촬영 장소 : 대전 아파트 베란다 망원경(경통/렌즈) : 셀레스트론 C8 EdgeHD + 0.7배 리듀서 가대(삼각대) : 셀레스트론 AVX 카메라(CCD) : ZWO ASI 462MC + ZWO ADC + UV/IR cut 필터 촬영 노출 : Gain [150, 260, 350], 15ms, 각 Gain 별로 2000 프레임 중 50% 스택 목성의 공전주기는 11.9년, 토성의 공전주기 29.5년이다. 목성의 공전주기가 짧으므로, 목성은 공전하면서 항상 토성을 추월한다. 목성이 토성을 추월할 때, 지구에서는 두 행성이 매우 가깝게 보이는데, 이를 근접이라고 한다. 물론 토성의 공전 궤도 긴반지름이 목성보다 7억 km 정도 더.. 2020. 12. 20.
Adobe Acrobat에서 오류코드 101 해결하는 법 Adobe 사의 Acrobat(아크로뱃)에서 PDF 파일을 열었을 때,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해당 오류의 원인은 다양하나, 가장 유력한 원인은 2가지이다. 1. 파일 오류 - PDF 파일이 저장되거나 복사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해 PDF 파일이 온전하지 못한 경우이다. 파일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이므로,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없으며, 문제가 없는 PDF 파일을 다시 받아야 한다. 2. 폰트 오류 - PDF에 사용된 폰트가 PDF 파일에 포함되지 않았거나, 기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폰트가 제대로 불러오지 않아 발생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PDF 파일을 Adobe Acrobat이 아닌 다른 PDF 뷰어(Foxit reader, 크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파이어폭스 등)로.. 2020. 12. 9.
2020. 09. 29. 해왕성 해왕성 촬영 일시 : 2020. 09. 29. 01:10~01:25 촬영 장소 : 대전 집 근처 공원 망원경(경통/렌즈) : 셀레스트론 C8 EdgeHD + ES 2배 바로우렌즈 가대(삼각대) : 셀레스트론 AVX 카메라(CCD) : ZWO ASI 462MC + ZWO ADC + UV/IR cut 필터 촬영 노출 : Gain 430, 150ms, 6000 프레임 중 30% 스택 (이전 천왕성 글을 참조하여 작성함.) 수금지화목토천해 태양계의 8개 행성이다. 수성, 금성은 태양에 가까워서 일출과 일몰 때 잠깐 관측할 수 있기에 보기가 힘들고, 화성, 목성, 토성은 거의 매년 주기적으로 볼 수 있고, 밤새 관측이 가능하며, 밝아서 맨눈으로도 쉽게 볼 수 있다. 천왕성과 해왕성은 어두워서 맨눈으로는 거의 볼 .. 2020. 9. 29.
2020. 09. 29. 천왕성 천왕성 촬영 일시 : 2020. 09. 29. 00:30~00:45 촬영 장소 : 대전 집 근처 공원 망원경(경통/렌즈) : 셀레스트론 C8 EdgeHD + ES 2배 바로우렌즈 가대(삼각대) : 셀레스트론 AVX 카메라(CCD) : ZWO ASI 462MC + ZWO ADC + UV/IR cut 필터 촬영 노출 : Gain 380, 50ms, 15000 프레임 중 30% 스택 수금지화목토천해 태양계의 8개 행성이다. 수성, 금성은 태양에 가까워서 일출과 일몰 때 잠깐 관측할 수 있기에 보기가 힘들고, 화성, 목성, 토성은 거의 매년 주기적으로 볼 수 있고, 밤새 관측이 가능하며, 밝아서 맨눈으로도 쉽게 볼 수 있다. 천왕성과 해왕성은 어두워서 맨눈으로는 거의 볼 수 없으며, 망원경으로만 관측할 수 있다.. 2020. 9. 29.
2020. 09. 29. 화성 화성 촬영 일시 : 2020. 09. 29. 00:10~00:20 촬영 장소 : 대전 집 근처 공원 망원경(경통/렌즈) : 셀레스트론 C8 EdgeHD + ES 2배 바로우렌즈 가대(삼각대) : 셀레스트론 AVX 카메라(CCD) : ZWO ASI 462MC + ZWO ADC + UV/IR cut 필터 촬영 노출 : Gain 180, 6ms, 10000 프레임(1분) X 5개 동영상 합성: 1분짜리 동영상을 오토스태커로 30% 스택 후 레지스탁스로 웨이블렛 처리. 이렇게 얻은 사진 5장을 윈주포스로 디로테이션 합성. 포토샵 마무리. 요즘 가을 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천체는 화성이다. (달은 제외.) 겉보기등급이 -2.5등급으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1.47등급)보다 훨씬 밝다. 다가오는 10월 .. 2020.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