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 09. 19. 목성 목성 촬영 일시 : 2020. 09. 19. 21:25, 23:58 촬영 장소 : 대전 집 베란다 망원경(경통/렌즈) : 셀레스트론 C8 EdgeHD + ES 2배 바로우렌즈 가대(삼각대) : 셀레스트론 AVX 카메라(CCD) : ZWO ASI 462MC + ZWO ADC + UV/IR cut 필터 촬영 노출 1(21시) : Gain 250, 10ms, 6000 프레임 중 30% 스택, 4개 영상 Winjupos 처리 촬영 노출 2(23시) : Gain 255, 10ms, 6000 프레임 중 30% 스택 시상이 좋은 오늘, 금성, 토성에 이어 목성을 촬영하였다. 21시경 1차로 목성을 촬영하였고, 대적반이 나오는 목성 사진을 위해 23시경 2차로 촬영하였다. 21시경에는 시상이 좋았기에 목성의 표면 무늬.. 2021. 9. 23.
2021. 09. 19. 토성 토성 촬영 일시 : 2020. 09. 19. 20:48~21:10 촬영 장소 : 대전 집 베란다 망원경(경통/렌즈) : 셀레스트론 C8 EdgeHD + ES 2배 바로우렌즈 가대(삼각대) : 셀레스트론 AVX 카메라(CCD) : ZWO ASI 462MC + ZWO ADC + UV/IR cut 필터 촬영 노출 : Gain 320, 20ms, 54000 프레임 중 30% 스택 오랜만의 토성이다. 시상이 좋은 오늘, 금성에 이어 토성을 촬영하였다. 전체적인 촬영 환경은 작년과 유사하였으나, 나의 편집 및 합성 기술 향상으로 인해 작년에 찍은 사진보다 훨씬 좋은 결과물이 나왔다. 특히, 작년 사진은 Wavelet 처리를 과도하게 해서 부자연스러웠는데, 이번에는 Wavelet 처리와 노이즈 제거를 적절하게 제한하.. 2021. 9. 23.
2021. 09. 19. 금성 금성 촬영 일시 : 2020. 09. 19. 18:58~19:06 촬영 장소 : 대전 집 베란다 망원경(경통/렌즈) : 셀레스트론 C8 EdgeHD + ES 2배 바로우렌즈 가대(삼각대) : 셀레스트론 AVX 카메라(CCD) : ZWO ASI 462MC + ZWO ADC + UV/IR cut 필터 촬영 노출 : Gain 100, 2.5ms, 38000 프레임 중 30% 스택 2020년부터 망원경으로 태양계 행성 사진을 찍고 있다. 작년에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의 사진을 찍었다. 아직까지 남아 있는 행성은 수성과 금성. 그리고 행성의 지위는 잃었지만 역사적으로 행성의 의미를 가지는 명왕성. 수성과 금성은 지구보다 작은 공전 궤도를 가지는 내행성(inferior planet)이다. 내행성은 해.. 2021. 9. 22.
Registax 6에서 여러 장의 사진파일을 자동으로 Wavelet 처리하기(Batch mode) Registax 6에는 동일한 작업을 자동으로 반복수행할 수 있는 Batch mode 기능이 있다. 메뉴에서 Tools -> Show MACRO/Batch window로 들어가면 반복적으로 수행할 작업을 정의하고, 대상 파일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반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위 그림과 같이 대상 파일로 선택할 수 있는 확장자가 제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동영상 파일에 대한 반복작업은 가능하지만 PNG, TIFF 등의 사진파일(이미지파일)은 선택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는 간단한 방법이 있다. 열기 창의 파일 이름 칸에 *.*를 입력하고 열기 버튼을 누르면, 위 그림과 같이 해당 폴더 내의 모든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여러 개의 사진파일을 선택하면, 사진파일에 대해서도 Wavelet 작업을.. 2021. 9. 22.
2021. 07. 27. 목성 목성 촬영 일시 : 2021.07.27. 1시 촬영 장소 : 대전 아파트 베란다 망원경(경통/렌즈) : 셀레스트론 C8 EdgeHD + ES 2배 바로우렌즈 가대(삼각대) : 셀레스트론 AVX 카메라(CCD) : ZWO ASI 462MC + ZWO ADC + UV/IR cut 필터 촬영 노출 : 10 ms, gain 200, 6000 프레임 촬영, 30% 스택 소프트웨어 : PIPP, Autostakkert, Registax, Photoshop 밤하늘의 투명도가 좋다는 별하늘지기 카페 글을 보고, 급히 베란다에 망원경을 폈다. 정말이지 구름도, 먼지도, 습기도 없는 맑은 하늘이었다. 큰 기대감을 가지고 망원경을 목성으로 향했다. 투명한 하늘에 목성이 정말 밝게 보였다. 다만, 아쉽게도 시상은 그리 좋지는.. 2021. 7. 28.
가이드 촬영 시스템 구축 촬영장비 구성 가대: Celestron AVX(Advanced VX) 주 망원경: Celestron EdgeHD 8 (구경 8인치 SCT, 초점거리 2032 mm) 주 카메라: ZWO ASI462MC 가이드 망원경: SVBONY Guidescope SV106 (구경 60 mm, 초점거리 240 mm) 가이드 카메라: ZWO ASI120MC-S 어두운 천체를 촬영하려면 수십~수백 초의 장노출이 필요하다. 그런데 지구는 상당히 빠른 속도로 자전하기 때문에, 촬영하는 동안 천체는 서쪽으로 이동한다. 망원경과 카메라가 고정되어 있으면, 천체는 사진 상에서 궤적을 그리며 흐르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구가 자전하는 만큼(천구가 회전하는 만큼) 망원경과 카메라를 회전시켜 줘야 한다. 대부분의 적도의 가대는.. 2021. 5. 12.